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립 어린이집 대상 연령, 운영 시간, 대기

by 정보 공유용 2025. 3. 21.

구립 어린이집은 지방자치단체, 특히 구청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공립 보육 시설로,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시설은 특히 맞벌이 가정이나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들에게 안정적인 보육 환경을 제공하며, 부모들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구립 어린이집과 다른 유형의 유치원 비교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모두 영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기관이지만, 설립 목적, 운영 주체, 대상 연령, 운영 시간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설립 목적 및 운영 주체

  • 구립 어린이집: 보건복지부의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보육과 양육 중심의 복지시설로 운영됩니다. 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하고 관리합니다.
  • 유치원: 교육부의 유아교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교육적인 목적이 중심이 됩니다. 공립 유치원은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설립하며, 사립 유치원은 개인이나 법인이 설립합니다.

대상 연령

  • 구립 어린이집: 출생 직후부터 만 5세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유치원: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운영 시간

  • 구립 어린이집: 일반적으로 오전 7시 30분부터 저녁 7시 30분까지 운영되며, 맞벌이 가정을 고려한 장시간 보육이 특징입니다. 필요에 따라 연장 보육(저녁 7시 30분~10시)과 야간 보육도 가능합니다.
  • 유치원: 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영되며, 교육 프로그램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방과 후 과정(오후 2시~5시)과 돌봄 교실(오후 5시~10시)을 선택적으로 운영하며, 봄, 여름, 겨울 방학이 있습니다.

교육 과정

이전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육 과정에 차이가 있었지만, 현재는 만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되어 교육 내용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교사 자격

  • 구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가 보육을 담당합니다.
  • 유치원: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유치원 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교육을 담당합니다.

비용

구립 어린이집은 국공립 시설로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므로, 보육료가 비교적 저렴합니다. 보육료는 아동의 연령과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며, 정부의 보육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사립 유치원은 운영 주체에 따라 비용이 다르며, 국공립 유치원은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연장반

구립 어린이집은 기본 보육 시간 외에도 연장 보육을 제공하여, 맞벌이 가정이나 늦은 시간까지 보육이 필요한 가정을 지원합니다. 연장 보육 시간은 오후 7시 30분부터 10시까지이며,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도 방과 후 과정과 돌봄 교실을 운영하여 연장 보육을 제공하지만, 운영 시간과 비용은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입소 대기

구립 어린이집은 보육료가 저렴하고 보육 환경이 우수하여 많은 부모들이 선호합니다. 이로 인해 입소 대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인기 있는 지역이나 시설의 경우 대기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입소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구청이나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하고 대기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구립 어린이집 목록

서울시에는 각 구마다 여러 개의 구립 어린이집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서울시 전체 자치구의 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목록입니다 (2025년 3월 기준). 

 

※ 구별 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목록 (서울시 보육포털 서비스)

자치구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 단체 개인 가정 협동 직장
종로구 28 1 1 4 2 0 27
중구 25 0 6 3 6 0 24
용산구 36 1 5 11 24 0 12
성동구 82 0 2 13 37 0 7
광진구 59 0 0 33 30 1 3
동대문구 83 0 2 33 41 0 8
중랑구 66 0 3 53 40 1 3
성북구 91 2 7 32 39 2 6
강북구 60 1 1 24 18 1 2
도봉구 65 1 1 34 40 1 3
노원구 89 1 1 33 130 0 6
은평구 96 0 3 56 28 1 4
서대문구 63 0 1 26 29 1 5
마포구 86 0 4 21 39 4 19
양천구 85 0 1 24 69 0 9
강서구 105 1 5 54 85 3 17
구로구 93 3 3 52 68 2 8
금천구 54 1 6 23 19 0 5
영등포구 84 1 1 25 55 0 35
동작구 73 0 1 32 40 1 8
관악구 80 1 3 32 38 0 5
서초구 94 0 1 18 20 2 21
강남구 70 0 0 32 30 1 37
송파구 108 1 2 62 87 0 21
강동구 98 1 2 54 66 1 5

two little girls playing with blocks

반응형